제2세종문화회관 개발 착수
여의도 공원, 한강공원 연결
문화콘텐츠 소비 중심지로
크루즈항 2026년 새로 개항
서울시가 여의도 제2세종문화회관 건립을 위한 디자인 공모에 들어갔습니다. 이를 필두로 여의도 공원 일대를 전세계가 주목하는 복합 콘텐츠 소비 핵심지로 만들겠다는게 서울시 구상입니다.
여의도 노후화된 재건축 단지를 최고 60~70층으로 새로 올리는 내용의 정비계획안도 속속 공개되고 있습니다. 여의도의 상징인 금융 산업과 '더현대 서울'로 대표되는 유통시설, 초고층 재건축 사업이 조화를 이루며 여의도에서 벌어지는 부동산 프로젝트 진행 속도도 빨라질 전망입니다.
서울시는 여의도 제2세종문화회관 조성을 위한 디자인 공모에 드어간다고 15일 밝혔습니다. 이번 디자인공모는 여의도 한강변에 제2세종문화회간을 짓고 여의도공원과 한강공원을 통합해 이곳을 대중문화 콘텐츠 소비를 폭발시키는 복합공간으로 조성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제2세종문화회간은 함부르크 엘베강변에 위치한 '엘프필하모니'에서 아이디어를 차용한 것입니다. 수변공간을 획기적으로 변신시킨 대표 글로벌 프로젝트로 꼽힙니다.
그 동안 여의도는 한강을 낀 천혜의 입지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아왔습니다. 금융업을 축으로 하는 고층 오피스 빌딩이 줄지어 들어섰지만 수변공간과의 시너지를 만들어내는 것에는 소홀해 고립된 공간에 머무르고 말았습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꺼내든 제2세종문화회간 건립 등 프로젝트는 여의도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야심찬 시도 입니다. 금융산업을 축으로 한 여의도에 관광, 문화산업 인프라를 대거 보충하려는 복안입니다.
미국 뉴욕 맨해튼은 글로벌 금융중심지이며 매년 수많은 관광객을 유인하는 대표 문화공간입니다. 이를 벤치마킹하여 여의도의 잠재력을 폭발시키도록 하는 것이 서울시의 목표입니다.
서울시가 여의도에 2026년 '서울항'을 개항하고 서해를 오가는 크루즈선이 한강에 정박하도록 아이디어를 낸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여의도에서 출발한 크루즈는 군산, 목포, 제주를 오갈 전망입니다. 향후 세고나과 출입국 관리 시설을 넣으면 국제관광도 가능해집니다. 초고층 건물 외에는 크게 볼 것 없던 여의도 문화 인프라가 대대적으로 보강되는 것입니다.
때마침 지지부진하던 여의도 재건축 일정도 속도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최근 '여의도 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 결정안' 열람 공고를 시작하고 여의도 아파트가 재건축 할때 최고 200m, 최대 용적률 800%까지 올릴 수 있게 했습니다. 재건축인센티브를 기반으로 여의도 대교,광장,공작 등 아파트에서 재건축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공람안에 따르면 서울시는 여의도 아파트지구 내 12개 단지를 9개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해 용도와 높이 규제를 완화했습니다. 건물 높이를 200m까지 올리면 최대 70층가지 올릴 수 있습니다.
용적률을 늘려준 반대급부로 각각의 재건축 단지는 시민을 위한 기부채납을 내놓습니다. 외국인학교와 핀테크랩 등 신규 교육,금융 공간이 추가로 나오게 됩니다. 이를 통해 여의도 산업 인프라는 더 탄탄해질 수 있습니다. 양질의 글로벌 교육공간이 추가되며 외국인이 자녀를 데리고 와 일할 수 있는 아시아 금융 허브 기능이 강화되게 됩니다. 이를 기반으로 여의도를 세계 5위권 국제 금융중심지로 ㅈ성하겠다는게 서울시 복안입니다.
■ 여의도 개발 프로젝트
▶ 제2세종문화회관 건립 - 한강변 복합 문화, 소비 공간 재편
▶ 재건축 규제 완화 - 용적률 800%로 초고층 스카이라인 조성
▶ 크루즈항구 개설 - '서울항' 2026년 개항, 제주 등 왕복
▶ 상업시설 확충 - 더현대 서울, IFC몰 주말 핵심 상권 도약
'꿈꾸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평형 84㎡ 10억 시대... 멀어지는 내 집 마련의 꿈 (0) | 2023.05.16 |
---|---|
다시 커지는 中 물류, 인프라도 UP (0) | 2023.05.16 |
전셋값 '뚝'... 커지는 아파트 역전세난 경고 (0) | 2023.05.16 |
국토부, GTX-C노선 도봉구간 지하철건설 확정, 연말 착공 (0) | 2023.05.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