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STARTANDRESTART2

Start AND RE-start '나에게 묻는다' 나에게 묻는다. 나 자신에게 묻고 답한다. 자기 객관화가 필요한 부분이다. 출발점을 다시 설정했다면 나아갈 길을 설계하기 위해 자기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답하는 '자기 객관화'가 필요하다. 나 자신을 알라. 나 자신에 대해서 나보다 더 많이 아는 사람이 있을까? 설령 부모라 할지라도 자기 자신보다 더 많이 알고 있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가 왜 스스로에게 묻고 답을 하는 과정이 필요한가... 이는 에너지 효율성 때문이다. 무엇을 좋아 하는가? 무엇을 싫어하는가? 무엇을 잘 하는가? 무엇을 못 하는가? 스스로에게 묻고 답하는 과정이야 말로 미래를 설계하기 위한 가장 좋은 에너지 효율성이 증대가 된다. 이러한 과정이 나만의 시스템을 만들어 줄 것이다. 스스로에게 묻는 '질문'은 사고 확장의 마중물이 될 것이다... 2023. 5. 18.
Start AND RE-star '본능의 역습' 삶을 살아가는 동안 '본능'이라는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본능이란 태어난 후에 경험이나 교육에 의하지 않고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억누를 수 없는 감정이나 충동을 의미한다. 태어나며 사회적 지위나 환경이 결정되는 것은 아주 오래전 시대나 지금이나 마찬가지다. 하지만 시대가 변화하며 계층 사다리에서 가장 차이가 나는 것은 본능의 통제가 아닐까? 불완전한 인격체로 태어났을 때부터 본능의 통제를 학습하게 된다. 환경이 우리의 본능을 통제할 수 있게 무의식적으로 학습하게 만들어준다.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차이는 환경에 의해 학습되는 본능의 통제 방법에 의한다. 물론 모든 경우가 그렇지는 않지만 확률적인 측면에서 그렇다는 것이다. 내가 가난하다면 우리는 본능적으로 우선 해결과제가.. 2023. 5. 17.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