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전월세 거래량 중 전세비중 61% 넘어
역전세 우려 여전... 보증금 미반환 사고 증가세
전세사기 · 역전세 우려가 확산되며 급감했던 서울 아파트 전세 비중이 다시 늘며 1년 4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하반기와 비교해 전셋값이 하락한데다 전세자금 대출 이자 부담이 낮아지면서 전세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7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3월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 2만2639건 중 전세는 1만3934건으로 61.5%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2021년 11월 61.6% (1만8744건 중 1만1554건)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이날 기준 신고된 4월 서울 아파트 전세 비중은 62.3% (1만5567건 중 9703건)로 3월보다 더 높습니다. 거래 신고기한이 계약 체결일로 30일 이내라는 점을 고려하면 4월 거래량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월세 수요가 다시 전세로 이동한 이유는 최근 전세가격이 많이 내린데다 금리 상승 둔화에 따른 이자 부담 감소로 전세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앞서 50~60%대를 유지해온 서울 아파트 전세 비중은 가파른 금리 상승과 전세사기 영향 등으로 지난해 12월 47.3%까지 하락했습니다. 같은 기간 월세 비중은 30~40%대에서 52.7%까지 늘었습니다.
서울 아파트 전세 비중은 올해 1월 55.2%를 기록한 뒤 3월 이후 60%대를 넘겼습니다. 아직 우러초라 거래량이 적기는 하지만 이달 전체 임대차 계약 1134건 중 66.4%인 753건이 전세로 집계됐습니다. 2년 전인 2022년 5월 67.1% (1만7560건 중 1만1778건) 이후 가장 높은 비중입니다.
아파트뿐 아니라 빌라(다세대 · 연립)의 전세 비중도 올해 들어 증가 추세입니다. 빌라는 최근 깡통 전세, 전세사기 우려가 커지면서 전세 수요가 즐었습니다. 실제 2021년 초 약 70%에서 지난해 12월 49.7%까지 낮아졌습니다. 하지만 서울 빌라 전세 비중은 올해 1월 50.3%, 2월 52.9%, 3월 56.8%로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이처럼 전세 수요가 회복되고 있는 가운데 역전세난 경고음은 커지고 있습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전세 거래 중 2년 전보다 전세 최고가격이 낮아진 하락 거래는 전체의 62%(1만928건)로 조사됐습니다. 10건 중 6건은 새로 계약을 할 때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오히려 돈을 돌려줘야 하는 역전세인 셈입니다.
이같은 역전세 현상이 곳곳에서 속출하면서 전세보증금 미반환 사고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실제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등에 따르면 지난 3월 전국에서 발생한 전세보증 사고는 1385건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전세 보증 사고금액은 3199억원으로 전월(2542억원)보다 657억원(25.8%) 늘었습니다. 지난 3월 발생한 사고금액은 2019년 한 해에 발생한 전세 보증 사고금액(3442억원)과 맞먹는 수준입니다.
'꿈꾸는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시국에도 전세가격 올랐다... 상승한 곳 공통점 (0) | 2023.05.09 |
---|---|
GS건설, 광주 서구 상무지구 '상무센트럴자이' 분양 (0) | 2023.05.09 |
GS건설, 광주 서구 상무지구 '상무센트럴자이' 분양 (2) | 2023.05.08 |
전매제한 풀리니... 분양권 거래 2배 '훌쩍' (0) | 2023.05.08 |
급매 다 빠졌나, 4월 부산 아파트 거래량 (2) | 2023.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