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낙찰가율 전월과 비슷
총 2146건 중 853건 낙찰
DSR 탓에 서울 낙찰률은 하락
전국 아파트 경매 시장에서 정부의 규제 완화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습니다. 낙찰률은 40% 선에 근접하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서울에선 고금리 영향으로 낙찰률이 한 달 새 크게 떨어졌습니다.
10일 법원경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발표한 '4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경매진행 건수는 2146건을 기록했습니다. 이 중 낙찰된 아파트는 853건으로, 낙찰률은 39.7%에 달했습니다. 전달(29.2%)과 비교해 10.5% 포인트 상승한 수치입니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75%로 전달(75.1%)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평균 응찰자 수는 지난 3월(7.5명) 대비 0.4명 늑어난 7.9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아파트 낙찰가율이 41.2%로 전달(30.3%)보다 10.9%포인트 상승했습니다. 낙찰가율은 74.1%로 전달(74.2%)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인천 아파트 낙찰률은 20.4%로 전월(27.6%)에 비해 7.2%포인트 하락했습니다. 낙찰가율은 같은 기간 70.2%로 전달(68.2%)보다 2.0%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인천에선 감정가 3억원 이하의 저가 소형 아파트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평균 응찰자수는 8.3명으로 전달(9.8명)보다 1.5명 감소했습니다.
전국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 변동이 적은 건 부동산 규제 완화 효과로 풀이됩니다. 정부의 전방위적인 부동산 규제 완화가 이뤄지자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전국 아파트 낙찰가율이 안정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에서는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등 부동산 대출 규제가 여전한 데다가 고금리가 이어지면서 낙찰률과 낙찰가율이 동반하락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낙찰률은 전월(33.1%) 대비 14.1포인트 하락한 19.0%를 기록했습니다. 낙찰가율 역시 전달보다 2.5%포인트 하락한 76.5%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평균 응찰자 수는 전달(5.4명) 보다 2.5명 증가한 7.9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규제지역 내 초고가 아파트의 대출 규제가 완화되자 강남권 경쟁률이 높아지면서 평균 응찰자 수는 늘었습니다.
지방 5대 광역시 중 대전 아파트 낙찰가율은 74.7%로, 전달(70.2%) 대비 4.5%포인트 상승했고, 울산 낙찰가율은 79.0%로 1.5%포인트 상승했습니다.
'꿈꾸는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실, 개포 아파트 석달새 2억 껑충... 강남 전셋값 바닥쳤나. (0) | 2023.05.12 |
---|---|
한강변 특화디자인단지, 당산역 인근에 780가구 (0) | 2023.05.11 |
아파트 인허가, 착공 모두 반도막, 2년 뒤 최악 공급난 우려 (0) | 2023.05.09 |
'10.4대 1' 광명자이더샵포레나 청약 경쟁률 (0) | 2023.05.09 |
이 시국에도 전세가격 올랐다... 상승한 곳 공통점 (0) | 2023.05.09 |
댓글